티스토리 뷰

반응형

 

 

 

⭐ 청년도약계좌 기준안내 ⭐ 

 

2023년 6월에 출시예정인 청년도약계좌와 21년 2월에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은 동시에 중복가입🚫 안됩니다.

청년도약3

위 표를 설명하면,

개인 2,400만 원 소득자가 기여금 납입한도 70만 원내 자유납입구간에서는 40만 원만 인정이 되기  때문에 연봉이 낮은 분들은 납입금액을 높게 설정하기보다는 알맞은 금액으로 납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즉, 5년 동안 납입금액은 월 최대 40만 원만 인정되어 기여금은 144만 원 지원받는 것입니다.

 

내 연봉에 해당되는 월 납부금에 따라 얼마받는지 계산해보세요^^

청년도약적금계산.xlsx
0.01MB

 

 

청년도약4

 

청년도약5

문의사항

 

1. 가입조건은요?

A. 만19세 ~ 34세 사이의 청년대상 (병역이행기간은 최대 6년 제외)

 

2. 가입기간은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요?

A. 23년 6월부터 23년 12월까지 매월 2주간 가입신청하고, 이후 2주 내 심사 완료 예정입니다.

 

3.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A. 현재는 미정이나 가입 후 3년는 고정, 2년는 변동금리 적용예정입니다.

 

4. 청년지원 유사상품과 중복가능한가요?

A.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처럼 고용 복지 목적상품는 동시 가입 가능합니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와 같은 성격인 청년희망적금은 동시가입 불가합니다.

 

5. 심사절차와 준비서류는요?

A. 별도의 서류 없이 비대면으로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 심사를 거쳐 최종 가입여부 결정합니다.

   단, 만 34세 이상 군대경력자는 별도 소득서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6. 가입 이후 소득기준은?

A. 가입 후 1년 주기로 개인소득 유지심사를 합니다. (가구소득은 심사제외)

 

7. 중도해지 시?

A. 해지사유가 정해놓은 해지요건에 해당된다면 정부기여금이 해지일까지 산정되어 지급되나, 일반해지 시 본인이 납입한 원금만 환급되고,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지원불가입니다.

 

 

 

청년도약계좌로 혜택 많이 보시길 바랄께요~~^^

 

 

반응형